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한국은행_경제금융용어_#5 가계처분가능소득이란?

by buja25 2025. 2. 14.

안녕하세요? 가계가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은 얼마나 될까요? 단순히 월급이나 수입을 기준으로 하기보다는 세금과 각종 공제액을 제외한 실제 가용 자금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바로 이때 필요한 개념이 ‘가계처분가능소득’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가계처분가능소득이 무엇인지, 왜 중요한지, 그리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
 

가계처분가능소득에 대해 알아봅시다.

가계처분가능소득

 


가계처분가능소득이란?

가계처분가능소득(PDI; Personal Disposable Income)은 가계가 맘대로 소비와 저축으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을 의미합니다. 흔히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파악해 볼 수 있는 지표로 1인당 GNI가 널리 쓰이고 있으나 국민총소득에는 가계 뿐 아니라 기업 금융기관 정부가 벌어 들인 소득이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. 따라서 기업과 금융기관 등이 가계부문보다 더 많은 소득을 벌어 1인당 국민총소득(GNI)이 높아진 경우에는 가계가 느끼는 체감경기는 전체 경기와 괴리가 있게 됩니다.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(PGDI; Personal Gross Disposable Income)은 가계부문의 총처분가능소득을 연앙인구로 나누어 계산한 지표로 가계의 구매력을 가장 정확히 가늠해 볼 수 있는 소득지표 입니다.

가계처분가능소득


우리나라 가계총처분가능소득

지난해 1인당 가계처분가능소득(PGDI)은 1만9498달러로, 1975년 이후 연평균 8.0%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. 또한 1인당 국민총소득(GNI) 대비 PGDI 비율은 53.9%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며, 1975년 77.5%에서 지속적으로 하락해왔습니다. 이는 국민소득에서 가계가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고, 기업이나 정부로의 소득 분배가 상대적으로 늘어났음을 의미합니다.

 

[출처] 동아일보. 2024-12-19. 1인당 소득 70년새 540배 증가...국민 체감소득은 갈수록 떨어져(https://www.donga.com/news/article/all/20241219/130677130/1)

 

가계처분가능소득


가계처분가능소득의 중요성

  1. 소비 여력 판단: 가계가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이 얼마나 되는지를 알면, 소비 및 저축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.
  2. 경제 분석 도구: 경제학자들은 가계처분가능소득을 활용해 소비 동향을 분석하고 경기 흐름을 예측합니다.
  3. 정부 정책 수립: 정부는 가계처분가능소득을 기반으로 세금 정책이나 복지 정책을 설계합니다.

가계처분가능소득


가계처분가능소득의 활용방안

  1. 개인 재무 관리: 자신의 가계처분가능소득을 계산하고 이를 기준으로 예산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2. 투자 및 저축 전략 수립: 여유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저축과 투자를 균형 있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.
  3. 경제 전망 분석: 가계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을 통해 향후 경기 변화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.

가계처분가능소득


가계처분가능소득은 단순한 개념이 아니라, 우리의 경제 생활을 계획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. 이를 잘 이해하고 활용하면 보다 안정적인 재무 계획을 세울 수 있으며, 경제 전반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. 자신의 가계처분가능소득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, 합리적인 소비와 저축 전략을 세워보는 것은 어떨까요?